명작의 첫문단과 작가 이야기

톰 아저씨의 오두막-미국 남북전쟁의 트리거가 된 소설은 풍경을 훑듯이 시작된다 본문

카테고리 없음

톰 아저씨의 오두막-미국 남북전쟁의 트리거가 된 소설은 풍경을 훑듯이 시작된다

지성인간 2023. 7. 1. 18:00
728x90
반응형

“켄터키 주 P마을의 어느 저택, 차가운 2월의 어느 늦은 오후에 두 신사가 가구가 잘 갖추어진 거실에 앉아 술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두 신사의 주위에는 하인들이 없었고, 의자를 바싹 붙이고 앉아있는 모습이 어떤 문제를 아주 진지하게 토론하는 듯했다. 편의상 두 신사라 했지만 자세히 살펴보고 엄밀하게 말한다면 그중 한 명은 신사의 부류에 들어가는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키가 작고 땅딸막한 체구에 조야하고 평범한 용모의 소유자로 잘 난 척 허세를 부리는 태도가 낮은 신분에서 시작하여 출세를 노리는 저급한 사람임을 드러내고 있었다.”(이종인 역, 문학동네,2011)

문학동네가 2011년에 낸 '톰 아저씨의 오두막' 표지 그림.

1.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카메라가 풍경을 차분하게 훑고 가듯이 묘사했다. 문체가 단순하다. 상징이나 비유 없는 문장으로 쉽게 읽도록 구성됐다. 등장 인물 외모를 통해 하층 인간으로 묘사한 것은 소설 속 악인을 더 강하게 전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작가가 객관성을 유지하다가 갑자기 첫 문단부터 개입하는 느낌이다. 르포르타지 형 글을 쓸 때 도입해 볼 만한 문장 구성이다.

2.해리엇 비처 스토(스토 부인)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1852)’은 19세기 미국 최고의 작품이다. 흑인 노예해방운동의 기폭제, 남북전쟁의 도화선이 된 소설이기도 하다.
1851년 6월5일 노예 제도 반대 저널인 주간지 ‘The National Era’에 연재 형식으로 발표됐다. 이 연재는 1852년4월1일까지 매주 계속됐다. 연재가 끝나기에 앞서 3월 20일 5000부가 출판됐다.
책은 나오자마자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베스트셀러가 됐다. 특히 간행 열달도 안 된 그해 11월에는 이 책을 원작으로 한 연극이 뉴욕에서 개막될 정도였다. 5월에는 영국에서도 출판됐는데 1년 동안 20만 부가 팔렸다.
노예제에 반대하고,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가정 부인이 쓴 소설은 흑인 인권운동으로 불붙었다. 소설의 인기로 미국 북부는는 활력을, 남부에는 분노를 일으켰다. 그리고 10년도 안돼 미국사를 바꾼 남북전쟁 발발의 트리거(Trigger,방아쇠)로 작용했다.

해맷 빌링스(Hammatt Billings,1818~1874)가 그린 톰 아저씨 오두막 초판(1852) 타이틀 페이지와 삽화. photo by wikipedia

3.소설은 캐나다 거주 요시야 헨슨(Josiah Henson,1789~1883)의 회고록 ‘헨슨의 삶(The Life of Josiah Henson, 1830)’에서 영감을 얻었다.
헨슨은 메릴랜드 주 찰스 카운티에서 노예로 살다가 1830년 아내, 아이들과 1000킬로미터를 걸어서 캐나다로 탈출했다.
또 작가이자 교사인 드와이트 웰드(Theodore Dwight Weld,1803~1895)와 자매 작가 사라 그림케(Sarah Moore Grimké, 1792~1873), 안젤리나 그림케(Angelina Emily Grimké)가 공동으로 쓴 ‘미국 노예제도 존재 그대로-천명의 증인의 증언(‘American Slavery as It Is-Testimony of a Thousand Witnesses, 1839)’에 큰 영향을 받았다.

4.등장 인물은 주인공이자 중년의 흑인 아저씨 톰(켄터키 출신으로 셸비 농장의 우두머리 머슴), 톰의 부인 클로이, 톰과 클로이의 아이들(피트, 모스, 샐리)이 나온다.
또 셀비 농장 흑인 여성 노예 엘리저 해리스와 남편 조지 해리스(혼혈 노예), 해리스 부부 아들 해리와 딸 엘리저 주니어, 또 셀비 농장주 아서 셸비와 에밀리 셸비 부부, 아들 조지 셀비도 등장한다.
이와함께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의 농장주 오거스틴 세인트클레어과 아내(마리 세인트클레어), 딸(에반젤린 세인트클레어, 애칭 에바), 사촌누나(오펠리아)도 나온다.
이어 농장주 오거스틴 집 노예 소녀 톱시와 여자 노예 로자. 남자 노예 아돌프, 부엌일 노예 다이나, 냉혹한 노예 농장주 사이먼 레글리와 노예들(큄보와 삼보, 캐시,루시), 노예창고 관리인들 스케노그 등이 나온다.

영국 출신 화가 에드윈 롱(Edwin Longsden Long) 그린 톰 아저씨와 에바(에반젤린 세인트 클레어,Uncle Tom and Little Eva(1866). photo by wikipedia

5.줄거리는 노예 제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폭로한 이야기다. 미국 남부 켄터키주에 있는 셸비 농장은 친절한 부부(아서와 에밀리)가 운영한다. 이 곳에 우두머리 머슴은 톰이라는 중년 흑인 남성이다. 톰은 가정부 클로이와의 사이에 2남 1녀를 뒀다.
주인 부부와 아들 조지와 함께 톰 가족은 행복하게 살지만 경제적 상황이 나빠지면서 노예들을 팔게 되는데 톰도 팔려간다.
톰은 뉴올리언스에 있는 세인트클레어 농장으로 가는데 그곳 주인과 딸 역시 착하다. 그런데 병약한 딸이 죽고, 톰을 자유민으로 바꾸기 위해 관청에 간 주인도 구타당해 죽는다. 이런 상황에서 톰은 다시 악랄한 농장 주가 있는 레글리 농장에 팔린다.
레글리 농장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중년 여성 노예 도움으로 버텨 나간다. 그러나 레글리는 톰을 지속 폭행해 결국 몸이 망가지고, 결국 숨을 거둔다.
이전 자기 집의 노예여썬 톰의 죽음을 알게 된 셀비 농장의 조지는 레글리를 무자비하게 패고 집으로 돌아와 노예들을 전부 해방시킨다. 그리고 자유민이 된 노예들에게 톰의 희생을 기억하라고 촉구한다.

6.선과 악을 극명하게 대비시킨 소설이다. 착한 노예와 악랄한 주인(백인)을 극명하게 대조, 독자들의 눈물샘을 자극하는 서술 기법을 쓴 것이다. 그래서 청교도적 윤리관에 따른 이분법적 전개라는 평가도 있었다.
또 전체적인 구성의 허술함, 지나친 감상적 사실주의, 예술적 승화 부족을 지적하는 이들도  있었다. 특히 비판론자들은 스토 부인의 남편이 목사여서 기독교 사상이 너무 짙다는 점을 지적했다. 톰의 수난과 기독교의 구원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안티 톰 문학의 하나로 나온 '필리스 아줌마의 오두막집(Aunt Phillis Cabin)'. 나중에 나왔지만 발행연도도 같은 해로 표기했다.photo by wikipedia

7.당대에서는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을 비꼬거나 반박하는 소설도 잇따랐다. 이 책이 나온 이후 3년 동안 14권 가량이 간행됐다. 이른바 ‘안티 톰(Anti-Tom) 문학’이라고 불린다.
실제 주요 소설 형 이야기로  필리스 아줌마의 오두막집(Aunt Phillis’s Cabin),  주디 아줌마의 돼지우리(Aunt Judy’s Pig Pen), 버지니아 오두막집의 로빈 아저씨, 그리고 보스턴에 오두막집을 갖지 못한 톰 아저씨(Uncle Robin, in His Cabin in Virginia, and Tom Without One in Boston) 등이 있다.

일제시대 소설가 이광수 이름으로 나온 비처 스토우 마님 '검둥의 셜음' 표지(1913)

8. 한국에서는 일제 치하에서 소설가 이광수(1892~1950) 이름으로 ‘검둥의 설움(1913)’이 나왔고, 1950년대 소설가 계용묵(1904~1961)의 이름으로 ‘검둥이 서름(1957)’이 나왔다. 이후 10개 이상의 출판사에서 책이 나왔다. 앞서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1901년 중국에서 번역가 린슈(林紓, Lin Shu, 1852~1924)의 번역으로 출판됐다.
한편 이 책은 출판 초기에 과대 광고를 통해 엄청난 책 홍보 효과를 거뒀다는 이야기도 있다. 간행 1년 후에 30만5000부(미국 기준)를 판매됐다는 홍보을 했는 데 실제로는 6년이 지난 후였다는 설이 있다.

1870년의 스토 부인 모습.photo by wikipedia

#.해리엇 비처 스토(Harriet Elisabeth Beecher Stowe, 1811~1896)=미국 작가이자 노예제도 폐지론자. 흑인의 어머니로 불린다. 스토 부인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필명으로 크리스토퍼 크로필드(Christopher Crowfield)를 썼다.

1.미국 코네티컷 주 리치필드에서 칼빈주의 설교자인 아버지 라이먼 비처(Lyman Beecher,1775~1863)와 어머니 록사나 푸테(Roxana Foote)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스토가 다섯 살 때 사망했다.
해리엇의 형제 자매에는 유명한 설교자이자 노예제 폐지 론자인 남동생 찰스 비처(Charles Beecher, 1815~1990)와 헨리 워드 비처(Henry Ward Beecher, 1813~1887), 교육자이자 작가인 언니 캐서린 비처(Catharine Beecher, 1800~1878), 신학자인 오빠 에드워드 비처(Edward Beecher,1803~1895) 등이 있다.

2.언니 캐서린이 핵심 역할을 하는 하트퍼드 여성 신학교(Hartford Female Seminary)에 들어가서 고전, 언어, 수학 등을 배웠다.
1832년 스물 한살 때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에 있는 레인신학교(Lane Theological Seminary, 현 레인신학대학) 교장인 아버지에게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문학 살롱 및 사교 클럽인 세미콜론(Semi-Colon)에 가입, 활동했다.
이 클럽에서 만난 상처한 목사(성경문학 교수, Biblical scholar) 캘빈 앨리스 스토(Calvin Ellis Stowe,1802~1886)와 1836년1월 결혼했다. 스토 부부는 쌍둥이 딸을 포함해 7명의 자녀를 두었다.

3.스토는 노예 제도에 대한 열렬한 비판가였고, 강력한 폐지론자였다. 오갈데 없는 도망 노예를 집에 수용할 정도였다. 소설이 베스트셀러가 된 뒤 남북 전쟁이 발발했고,   전쟁중인 1862년 11월 워싱턴 DC에서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1809~1865) 대통령을 만났다. 링컨은 이 자리에서 “당신은 이 위대한 전쟁을 시작한 책을 쓴 작은 여성입니다”고 경하의 말을 했다.
북군의 승리로 끝난 전쟁으로 노예해방이 이뤄지자 스토는 여성 인권 운동에 뛰어들었고, 하트포드 미술 학교(Hartford Art School, 나중에 University of Hartford로 승격)의 창립자 중 한 명이 됐다.
 

매사추세츠 주 앤도버에 있는 해리엇 비처 스토의 무덤과 기념물.photo by wikipedia

4.50년을 함께 한 남편 캘빈 스토우가 1886년 사망한 이후 건강이 급속히 악화됐다. 워싱턴 포스트는 1888년  ‘77살의 스토가 톰 아저씨 오두막을 다시 쓰기 시작했다’는 유머섞인 보도까지 했다. 생애 말기에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하트 포드에 사는 스토우 (Stowe)의 이웃인 유명작가 마크 트웨인 (Mark Twain,1835~1910)은 자서전에 당시 상황에 대해 “그녀 마음은 이미 상해가고 있었고, 우울한 노래를 부르는 것을 발견하곤 했다”고 썼다.
스토는 1896년 85살 생일이 보름가량 지난 7월1일 코네티컷 주 하트 포드에서 영면했다. 매사추세츠 주 앤도버의 남편 무덤이 있는 필립스 아카데미 묘지에 묻혔다.
주요 저서로는 ‘톰 아저씨의 오두막’ 외에 ‘드레드(Dred, 1856)’, ‘목사의 구혼(The Minister's Wooing, 1859), ’오르 섬의 진주(The Pearl of Orr's Island, 1862), ‘올드 타운 사람들(Old Town Folks, 1896)’, ‘샘 로슨의 옛 동네 난로가 이야기(Sam Lawson's Oldtown Fireside Stories, 1872)’, ‘바이런 여사가 입증하다(Lady Byron Vindicated, 1870) 등이 있다.

1895년 브뤼셀의 애비뉴 루이(Avenue Louise) 공원에 설치된 벨기에 조각가 루이 사맹(Louis Samain,1834~1901)의 조각 작품.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이다.photo by wikipedia

5.스토는 노예 해방의 기수답게 미국 곳곳은 물론 유럽 등에도 기념물이 많다.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와 메인 주 브런 즈윅에는 스토 기념관(Harriet Beecher Stowe House)이 있다.
또 스토가 23년 동안 살았던 코네티컷 주 하트 포드의 집도 기념관(Harriet Beecher Stowe House)로 꾸며져 있다. 이 곳은 동료 작가 마크 트웨인의 옆집이며, 스토의 원래 물건과 수많은 편지와 문서 등이 있다.
벨기에 브뤼셀  한 공원에는 조각가 루이 사맹(Louis Samain,1834~1901)이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서 영감을 받아  설치한 조각 작품이 있다.
스토는 1986년 미국 여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또 2007년에는 미국 우편국이 75센트짜리 미국 시리즈 우표의 하나로 발행했다.(콘텐츠 프로듀서)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