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월터 스콧
- 프란츠 카프카
- 명작의 첫 문장
- 투르게네프
- 베르길리우스
- 명작의 첫문장
- 클리셰 뜻
- 명작의 첫문단
- 명작의첫문단
- 존 드라이든
- 노벨문학상
- 우암 송시열
- 팡테옹
- 헨리제임스
- 서긍
- 빅토르 위고
- 논술
- 찰스 디킨스
- 선화봉사고려도경
- 송강 정철
- 명작의 첫 문단
- 에밀 졸라
- 귄터 그라스
- 캔터베리 이야기
- 우신예찬
- 윌리엄 포크너
- 랍비 뜻
- 제프리 초서
- 연암 박지원
- 플로베르
- Today
- Total
목록명작과 저자 (218)
명작의 첫문단과 작가 이야기
“민중에 대한 지배 권력을 행사해온 국가나 통치체제는 과거는 물론 지금까지 모두 공화국이거나 군주국이었습니다. 군주국은 군주의 가문에 의해 몇 대에 걸쳐 통치돼 온 세습군주국이거나 신생군주국입니다. 신생군주국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통치하는 밀라노처럼….”(권혁 옮김, 돋을새김,2005) 1.누구나 읽기 쉬운 설명문 형식을 취했다. 군주에게 올리는 보고서 형태로 썼기 때문으로 보인다. 첫 문단이 사실상 두 개의 문장으로 끝나지만 향후 전개될 글의 전개를 예고하고 있다. 설득형 문장으로 활용하기에 좋은 첫 문단이다. 2.마키아벨리의 ‘군주론(II Principe,1532)’은 1513년에 집필에 들어갔다고 기록돼 있다. 그해에 당시 피렌체 지배자인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헌정하려고 했다고 한다. 다만 실제 ..
"갈리아 전체는 세 지역으로 나뉜다.한 지역에는 벨가이인, 다른 한 지역에는 아퀴타니인, 나머지 한 지역에는 그들 스스로는 켈타이인이라고 부르고 라틴어로는 갈리아인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살고 있다.세 지역 모두 언어, 제도, 법률이 서로 다르다.갈리아인은 남쪽으론 가론강을 사이에 두고 아퀴타이인과 분리되고, 북쪽으론 마른(Mame)강과 센강(Seine)을 사이에 두고 벨가이인과 분리된다. 세 민족 중 가장 용감한 민족은 벨가이인인데, 그 이유는 그들이 프로빈키아의 문화와 문명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 상인들이 성품을 유약하게 만드는 일용품을 가지고 출입하기가 가장 어렵기 때문이다. " (김한영 역, 사이,2005) 1.글에 꾸밈이 없고, 제3자 관점의 객관적 서술로 시작된다. 영웅 카이사르의 전장 이..